목차 산에서 나는 후추 - 기침, 해수, 구충제 효과 산초나무는 잎, 줄기의 껍질, 열매 모두 매운맛과 독특한 향기가 나기 때문에 '산에서 나는 후추'라 하여 '산초'라 불린다. 산초의 열매나 잎에는 방부효과가 있어 장을 담가 먹으면 오랫동안 맛이 변하지 않게 해 준다. 산추나무는 중부 이남의 햇볕이 잘 드는 산기슭에서 자생한다. 오래된 산초나무 열매가 익을 때는 새들이 곁을 떠나지 않는다. 산초나무는 식용·약용·관상용으로 가치가 높은데 잎과 종자를 약초로 쓴다. 사찰에서는 산초 열매 장아찌를 즐겨 먹는다. 열매가 다 익어서 까맣게 되면 가루를 내어 향신료로 쓰기도 한다. 추어탕에 넣으면 잡내를 잡아주면서 풍미를 높여준다. 일부 지역에서는 기름으로 짜서 먹는데 민간에서는 산초 기름이 기침에 좋다고 하여 ..
목차 기침·가래· 천식에 좋은 약초 개미취는 전국 각지의 시골길이나 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주로 깊은 산속 습지에서 자생하고 자주색 꽃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많이 심기도 하고 나물용으로 재배하여 시중에 판매되기도 한다. 야생에서 자라는 것은 길이가 보통 1.5m 정도 자라고 재배하는 것은 약 2m 정도까지 자라며 꽃은 7~10월에 연한 자주색이나 하늘색으로 피어난다. 꽃대에 작은 털이 붙어 있고 열매는 수과로 익는다. 유사종으로 벌개미취, 좀개미취, 갯개미취 등이 있으며, 약성은 같다. 벌개미취는 잎자루가 거의 없으며, 개미취보다 잎이 두껍고 짙은 녹색을 띤다. 연한 자주색 꽃이 1개씩 달리며 꽃은 개미취보다 크다. 좀개미취는 개미취에 비해 비교적 작은 편, 잎이 가늘고 톱..
목차 중추신경 진정 - 신경통, 요통, 견비통에 효과적 가지에 달린 가시가 크로 단단하고 무섭게 생겼다 하여 '엄나무', 잡귀를 막는 나무로 여겨 '도깨비방망이'라 불린다. 우리 옛 조상은 음나무를 집안의 재앙을 막아주고 복이 깃들게 하는 길상목으로 보았다. 음나무는 재질이 좋고 광택이 아름다워 사찰에서 식기인 바릿대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두릅처럼 봄에 어린순을 채취해 먹는데 서로 구별하기 위해 '개두릅'이라 불렀다. 음나무 순은 두릅에 비해 쌉쌀한 맛과 향이 더 진하여 입맛을 돌게 한다. 봄에 연한 새싹을 따서 끓는 물에 살짝 데쳐 나물로 무쳐 먹거나 양념 고추장을 곁들여 쌈을 싸 먹는다. 튀겨 먹거나 김치로도 담가 먹는다. 오래 보관하려면 소금에 절이거나 얼려서 보관한다. 약리실험에서 중추신경을 진정..
목차 청혈·해독 효과 - 간염·염증·해열·소염 작용 봄에 제비가 올 때 꽃이 핀다고 하여 '제비꽃', 매년 이 꽃이 필 무렵 오랑캐들이 북쪽에서 쳐들어 온다 하여 '오랑캐꽃'이라 불렸다. 제비꽃은 식용·약용·관상용으로 가치가 높다. 봄에 피는 꽃을 따서 비빔밥에 넣어 먹거나 화전이나 차로 먹는다. 꽃에 뿌리에는 사포닌,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정유 성분과 플라보노이드, 비타민C, 살리실산 등이 들어 있다. 제비꽃은 피를 맑게 하고 독을 없애는 청혈·해독 효과가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해열과 소염 작용에 쓴다. 민간에서 외용시 찧어 환부에 붙이거나 고약을 만들어 바르고, 벌레에 물렸을 때 잎을 찧어 붙이기도 했다. 호흡기 질환에는 제비꽃, 민들레, 산국을 배합하여 달여 복용한다. 한방에서 뿌..
목차 눈병에 탁월 - 시력회복, 야맹증, 간질환에 효과적 중국에서는 시력이 좋아지는 씨앗이라는 뜻으로 '결명자', 긴 강남차와 비슷하다 하여 '긴 강남차'라 불린다. 예로부터 눈을 밝게 하는 불로 알려져 있고 간열을 내리게 하는 데 사용하였다. 에서는 '결명자를 100일동안 복용하면 밤에 촛불 없이도 사물을 볼 수 있다'라고 하였다. 전통 의서인 에서도 '결명자는 신장과 정력을 좋게 하고 풍력을 없애고 모든 눈병을 다스린다'라고 하였다. 에서는 '홍안에는 결명자를 볶아 가루로 만들어 차를 얼굴 눈가의 양 태양혈에 붙이면 좋아진다'고 했고, 에는 '결명자는 이뇨, 소화불량, 위장병 등에 다른 약재와 처방한다'라고 했을 정도로 눈병 치료에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명자는 식용과 약용으로 가치가 높다. ..
목차 해독·정화 능력 탁월 - 간염·기관지염·독소 해독에 효과적 민들레는 옛날부터 강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어 밟아도 다시 꿋꿋하게 일어서는 백성과 같다 하여 '민초'라 불렀으며, 씨앗이 펴져 사립문 둘레에서도 흔히 볼 수 있어 '문둘레'라고 한 것이 변하여 '민들레'가 되었다. 민들레는 독성이 없어 식용과 약용으로 가치가 높다. 맛이 쓰면서도 단맛이 약간 있으며 , 잎을 자르면 흰색의 유액이 나온다. 잎에는 독특한 향기기 나는 정유와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가 들어 있고, 간의 지방 변성을 억제하는 '이눌린' 성분이 있어 급성간염이나 황달에 좋다. 일본에서는 방사능 해독을 위해 민들레차나 효소를 선호하고 서양에서는 민들레가 피를 맑게 하기 때문에 종기나 위장병을 치료하는데 썼다. 프랑스에서는 민들레 새순을..